주택금융지수 주택구입부담지수 주택구입물량지수 전체평균 지역별비교 주택규모별 주택구입부담지수 주택구입부담지수 - 전체평균 엑셀 다운로드 상세조회 주택구입부담지수 > 전국평균 시점 주택구입부담지수 대출금리* 가계소득** 지수(P) 전기대비증감률(%) 금리(%) 전기대비증감률(%) 소득(만원) 전기대비증감률(%) ※ 아파트가격 :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시세의 중간가격을 활용 * 대출금리 :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신규취급액 기준 주택담보대출금리 ** 가계소득 : 통계청 ‘가계동향조사’의 2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소득 자료와 노동부 ‘매월노동통계조사’의 5인이상 사업체 상용근로자 월급여 총액의 전국대비 지역별 환산비율을 이용해 산출한 중간가구소득 주택구입부담지수 - 지역별 비교 [닫기] 년도검색 2017년 분기검색 1분기 엑셀 다운로드 상세조회 주택구입부담지수 > 지역별 비교 지역 지수 전기대비증감률 주택구입부담지수 - 주택규모별 년도검색 2017년 엑셀 다운로드 상세조회 주택구입부담지수 > 주택규모별 시점 60㎡ 이하 60 ~ 85㎡ 이하 85 ~ 135㎡ 이하 135㎡ 초과 K-HAI(Housing Affordability Index, 주택구입부담지수) "주택구입부담지수" : 중위소득가구가 표준대출로 중간가격 주택구입 시 대출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주택금융상환부담 추이 주요지수 K-HAI는 지수가 낮을(높을)수록 주택구입부담이 완화(가중)됨을 의미 작성목적 : 우리나라 중간소득가구의 주택구입능력을 연속적으로 파악하여 주택 및 주택금융 정책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지수의 정의 : 중위소득 가구가 표준대출을 받아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하는 경우의 상환부담을 나타내는 지수 산출방식 : ※ 아파트가격 : 한국부동산원 아파트 시세의 중간가격을 활용 * 대출금리 : 한국은행의 예금은행 신규취급액 기준 주택담보대출금리 ** 가계소득 : 통계청 ‘가계동향조사’의 2인 이상 도시근로자 가구소득 자료와 노동부 ‘매월노동통계조사’의 5인이상 사업체 상용근로자 월급여 총액의 전국대비 지역별 환산비율을 이용해 산출한 중간가구소득 지수 수치의 의미 : 서울 K-HAI 90.1은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서울지역의 중간가격의 주택을 구입할 경우 적정부담액 (소득의 약25%)의 90.1%를 주택구입담보대출 원리금 상환으로 부담한다는 것으로 지수의 수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 전체평균 지역별비교 주택구입물량지수 주택구입물량지수 - 전체평균 엑셀 다운로드 상세조회 주택구입물량지수 > 전국평균 연도말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주택구입물량지수 - 지역별비교 년도검색 2017년 엑셀 다운로드 상세조회 주택구입물량지수 > 지역별 연도말 전국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 경기 강원 충북 충남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제주 K-HOI(Housing Opportunity Index, 주택구입물량지수) "주택구입물량지수" : 전체 주택 중 중위소득가구 구입가능 주택 비율로 지역별 주택구입가능물량을 나타내는 지수 주택금융가능성 주요지수 K-HOI는 중위가구가 구입 가능한 주택수의 비율(0~100)로 주택구입 능력을 측정하는 지수로서, 수치가 높을(낮을)수록 중위소득 가구 구입 가능한 주택물량이 많다(작다)는 의미로 100은 중위소득 가구가 해당 지역 소재 주택을 100% 구입 가능함을 의미 도입배경 : 미국에서 활용하고 있는 주택구입물량지수(HOI : Housing Opportunity Index)를 우리 실정에 맞게 적용·개선한 주택구입물량지수(이하 K-HOI, 코이)를 신규 도입 지수의 정의 : 중위소득가구가 구입가능한 주택(아파트)물량을 전체 주택(아파트)물량으로 나눈 값 산출방식 : 지수의 수치의 의미 : 서울 K-HOI의 27.4가 의미하는 바는 서울의 중간소득 가구가 자기자본과 대출을 통해 서울 전체 아파트 중에서 27.4%에 해당하는 아파트를 구입할 수 있다는 것으로 지수의 수치가 낮을수록 주택구입 부담이 커지는 것을 의미(반대로 코이가 높을수록 본인이 살고 있는 지역의 아파트 구입이 쉽다는 것을 뜻함) K-HAI(카이) · K-HOI(코이) 비교표 K-HAI(카이) · K-HOI(코이) 비교 정보표 : 구분, K-HAI(카이), K=HOI(코이) 구분 K-HAI(카이) K-HOI(코이) 주요변수 대출금리/가계소득/주택(아파트)가격 좌동, 주택(아파트)재고, 가계순자산 주택구입이용이한 수준 지수가 낮을수록 주택구입 용이(부담 완화) 지수가 높을수록 주택구입 용이(부담 완화) 발표주기 분기 연간