주택연금 오해와 진실
월지급금에 대한 오해
Q 주택연금 가입보다 주택을 매도하거나 월세로 전환하여 발생한 자금으로 생활하는 것이 더 효과적인 것은 아닌가요? 내용보기


-
[사례]
연령 70세, 주택가격 5억원(서울 중계동 소재 아파트 28평)
종신지급방식 정액형기준 정보표 구분 주택연금 전세 + 즉시연금 월세 + 즉시연금 수형주택이사 + 즉시연금 이용조건 기존주택
소유및활용주택처분 후
전세입주
(보증금 2.9억)주택처분 후
전세입주
(보증금 0.5억)주택처분 후
소형주택(17평)
구입(2.6억)노후자금
마련방법주택연금수령 즉시연금 가입
(2.1억)즉시연금 가입
(4.5억)즉시연금 가입
(2.4억)월수령액 153만원 60만원 39만원
(월세차감 후)69만원 주거문제 평생거주
(28평)주거불안(이사)
전세보증금 인상주거불안(이사)
월세인상주거여건 악화 비용발생 저당권설정비용
(세금감면)이사비용
중개수수료이사비용
월세 90만원이사비용
중개수수료
취 · 등록세
Q 주택연금 가입자의 주택담보대출 상환시 왜 월지급금이 더 작은가요? 내용보기
만약 3억 주택에 1억 원 대출이 있는 상태로 주택연금에 가입한다면 이 기존 대출 1억 원이 만기가 없고 또 상환의무가 없는 대출로 바뀌게 됩니다. 때문에, 단순히 2억 주택을 담보로 주택연금에 가입하는 것보다는 적은 월지급금을 받을 수 밖에 없습니다.
- 단순히 두 경우의 월지급금만 비교하기 보다는 2억원 상당의 주택으로 옮길 경우에는 작은 평수로 옮기거나 혹은 외곽지역으로 이사해야 하는 불편 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.
- 신규주택 매수 시에 취득세 등의 제반비용을 고려한다면 본인 상황에 맞게 적절하게 판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-
[사례]
7,500만원의 주택담보대출을 쓰고 있는 3억원 주택 보유자(만 60세)가
- ① 주택연금(대출상환방식)으로 전환하면서 주담대 상환시 연금 약 23만원
- ② 주택을 처분해 원리금을 상환하고 2억원의 주택을 취득, 주택연금 가입 시 약 41만원 수령
Q 물가상승률 고려 시 현재의 월지급금으로는 수 십 년 뒤 연금의 가치하락으로 인해 생활에 도움이 못되는 것은 아닌가요? 내용보기
공사는 「주택금융운영위원회」를 통해 매년 1회 이상 주택가격상승률을 재산정함 → 장기간의 주택가격 변동을 예측하는 것으로, 공사는 매년 일정률로 주택가격이 상승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월지급금을 산출합니다.
하지만, 실제 주택가격은 매년 오르기만 하는 것이 아니고 횡보할수도 또 하락할 수도 있습니다.
주택연금의 월지급금 산정 시 물가상승에 따른 자산의 가치 변화를 이미 반영하였기 때문에, 별도의 물가상승률을 추가로 반영한다면 물가 상승분이 이중으로 계산되는 문제를 안게 됩니다.